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| #include <vector> #include <utility> #include <algorithm> using namespace std; /* N :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실패율 :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/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반환값 :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 */ bool compare(const pair<int, double> &p1, const pair<int, double> &p2){ if(p1.second == p2.second){ return p1.first < p2.first; }else{ return p1.second > p2.second; } } vector<int> solution(int N, vector<int> stages) { vector<int> answer; // 전체 현황 // [스테이지 인덱스 : 스테이지 번호 -1][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,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] vector<vector<int>> total_stats(N + 1, vector<int>(2, 0)); for(int user_index = 0; user_index < stages.size(); user_index++){ // stages[user_index]의 값은 현재 사용자가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 int current_stage = stages[user_index]; // current_stage 이하의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값 모두 1씩 증가 for(int stage_index = 0; stage_index < current_stage; stage_index++){ total_stats[stage_index][1]++; } // current_stage 스테이지는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으므로 // current_stage의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1 증가 (total_stats[current_stage - 1][0])++; } // 실패율 저장 벡터 [stage의 index, 실패율] vector<pair<int, double>> failure_rate; for(int stage_index = 0; stage_index < N; stage_index++){ if(total_stats[stage_index][1] == 0){ failure_rate.push_back(make_pair(stage_index + 1, 0.0)); }else{ failure_rate.push_back(make_pair(stage_index + 1, double(total_stats[stage_index][0]) / double(total_stats[stage_index][1]))); } } sort(failure_rate.begin(), failure_rate.end(), compare); for(int i = 0; i < N; i++){ answer.push_back(failure_rate[i].first); } return answer; } | cs |
'Problem-solving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- 기능개발 (C++) (0) | 2020.03.26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- [1차] 다트 게임 (C++) (0) | 2020.03.25 |
프로그래머스 - [1차] 비밀지도 (C++) (0) | 2020.03.21 |
프로그래머스 - 예산 (C++) (0) | 2020.03.21 |
프로그래머스 - 콜라츠 추측 (C++) (0) | 2020.03.20 |
댓글